오늘은 신협 예금 중도해지 방법을 기록해 보려고 한다.
계좌개설 20일에 걸리지 않고 창구 방문 없이 모바일로 해지하는 방법을 A to Z까지 담았다.
작년 말, 나는 저율과세(1.4%) 신협 예금으로 만기 이자를 수령했다.
일반 예금도 세금을 15.4%나 떼는데, 1.4%만 내다니...
너무 신나서 예금을 재가입했다.
그 예금을 오늘 해지했다.
미국 주식 장기 투자자, 정확히는 미국 지수 장기 투자자로서 매수 시점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일부 매수 후, 일부는 현금을 보유하고자 한다.
그래... 트럼프 님아 마음껏 떠들어 보시라.
난 내 할 일을 하련다...
누가 이기나 보자...
1. 신협 예금 해지 준비물
- 실물 신분증
- 신협 입출금 계좌
- 본인 명의의 다른 은행계좌
중간에 신분 확인을 위해 신분증을 촬영하니 잘 챙기자.
다른 은행 계좌는 인증 번호 확인 때 필요하다.
2. 20일 계좌 개설 제한 없이 신협 예금 계좌 해지하기
계좌개설 제한 없이 예금을 해지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신협 입출금 계좌가 있다면 계좌관리에서 해지하기를 눌러주면 된다.
이 경우, '4) 예금해지'부터 따라 하면 된다.
입출금 계좌가 없다면 입출금 계좌를 개설한 다음 예금을 해지하고 입출금 계좌를 해지하면 된다.
조금은 복잡하니 아래 글을 보며 따라 하면 된다.
입출금 계좌가 없는 경우
1) 입출금 계좌 모바일 개설
예금을 해지하면 타행으로 바로 이체는 안 된다.
따라서 신협 입출금 계좌를 개설해야 한다.
우선, 하단에 보이는 파란 플러스 버튼을 눌러 예금계좌를 개설한다.
이때, 여러 항목이 보이는 데 여기서 모아 모아 통장이나, 자립예탁금을 클릭한다.
나는 자립예탁금으로 진행했다.
그럼 이런 화면이 뜬다.
신청하기를 눌러 계속한다.
2) 각종 동의 진행
뭔 놈의 동의해야 할 게 많은지, 동의 화면은 보통은 다 예라고 체크하면 된다.
이 중 헷갈릴 만한 부분만 화면에 뜨는 순서대로 캡처 했다.
일반 투자자라면 이 화면에서 전문금융소비자를 누르고 성인으로 체크하면 된다.
입출금 한도라는 게 뜬다.
'내 예금은 300만 원 넘는데, 못 빼는 거 아니야?'
걱정하지 말자.
바로 해지하면 타행으로 전액을 보낼 수 있다.
3) 고객확인제도 등록
기준이 무엇인지는 모르겠으나, 나는 고객확인제도를 등록하라고 떴다.
당황하지 말고 따라 해 보자.
신분증과 본인 명의 타행 계좌도 챙겨두자.
이 화면이 뜨면 귀찮지만 여러 정보를 입력해야 한다.
신분증도 잘 챙기길...
주소와 전화번호를 입력한다.
주부이므로 슬프게도 무직이다.
여기서 신분증을 잘 찍어서 한 번에 성공해 보자.
1원 송금받을 계좌를 입력한다.
본인 명의의 계좌만 가능하다.
내국인이라면 어려울 게 없는 부분이다.
잘 클릭하여 저장을 누르자.
모든 단계를 클리어하면 이런 화면이 나온다.
이제 예금을 해지할 차례다!
4) 예금해지
아래의 메인화면에서 해지할 예금을 누른다.
우측 상단의 계좌 관리를 누른다.
여기서 맨 아래 계좌해지를 누른다.
이렇게 하면 맨 아래 입금계좌선택에 방금 만들어 둔 입출금 계좌가 나온다.
이것을 위해 그 많은 동의를 했다...
그렇게 계속 진행하면...
해지 화면이 아래와 같이 뜬다.
과감하게 '예'를 클릭하자.
역시, 고객을 그냥 놔 줄리 없다.
ARS인증과 비밀번호 입력까지 차근차근 진행한다.
그러면...
드디어 계좌 중도해지가 완료되었다!
5) 입출금 해지 및 송금
자, 이제 계좌개설 20일 제한에 걸리지 않게 빨리 이 돈을 처리하자!
입출금 계좌를 눌러 계좌 관리 화면에 들어간다.
계좌 관리 클릭.
그러면 좀 전의 ARS인증과 비밀번호 입력을 반복하여 진행해야 한다.
모두 완료하면...
이런 내용이 뜨고 '아니요' 체크한다.
그다음 '계좌를 해지하겠습니까?'에서 '예'라고 클릭해 주면...
비로소 이렇게 타행 계좌 입력란이 뜬다.
세상에 쉬운 게 하나 없다...
드디어 계좌가 해지되었고, 나는 예금 중도 인출금을 타행 계좌로 안전하게 받았다.
오늘은 신협 예금 중도 인출 절차를 기록했다.
다음에 또 써먹어야지...
함께 볼만 한 글
ISA서민형 개설하기- 자격조건, 가입방법, 필요서류
ISA 통장은 절세통장이라고 불린다. 일반형은 매매 차익의 200만 원까지, 서민형은 400만 원까지 세금을 내지 않아도 되기 때문.(한때, 한도 증액 이슈가 있었으나, 결국 국회 통과가 되지 않아 증
cash.a-parkshome.com
연금저축 중도인출, 과연 그 결과는?
연말정산 세액공제를 위해 연금저축에 가입하는 분들이 많을 것이다.나도 그러한데... 얼마 전, 연금저축에 저금한 돈을 조금씩 생활비로 빼 쓰고 있다는 글을 보았다.그래서 궁금해졌다. 과연
cash.a-parkshome.com
해외주식 필독 주의사항- 연말정산, 아이계좌, 증여, 배당소득세
요즘 국내주식보다 해외주식이 특히 인기라지...하지만, 무턱대고 해외주식을 사기 전 이것만은 꼭 알고 하기를...바로 세금 관련 문제이다. 재테크해 보겠다고 해외주식 거래했다가 자칫하면
cash.a-parkshome.com
'재테크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선입선출법, 이동평균법 (0) | 2025.04.03 |
---|---|
커버드콜이란? 커버드콜 ETF (2) | 2025.02.05 |
연금저축 중도인출, 과연 그 결과는? (0) | 2025.01.27 |
해외주식 필독 주의사항- 연말정산, 아이계좌, 증여, 배당소득세 (6) | 2025.01.03 |
ISA만기- 해지 재가입, 연장, 뭐가 나을까? (7) | 2025.01.01 |